별자리의 역사
본래 별자리는 대략 5,000년 전 바빌로니아에 해당하는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 유역에 살던 유목민인 칼데아인 들이 양 떼를 키우고 지키면서 밤하늘 별들의 형태에 관심을 가진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기원전 3,000년경에 만든 이 지역의 표석에는 천칭, 전갈, 궁수, 염소, 물병, 물고기, 양, 황소, 쌍둥이, 게, 사자, 처녀 자리 등 태양과 행성이 지나는 길목인 황도를 따라 자리한 12개의 별자리, 황도 12궁을 포함한 20여개의 별자리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고대 이집트에서도 기원전 3000년경에 이미 43개의 별자리가 있었다고 한다. 그 후 바빌로니아·이집트의 천문학은 그리스로 전해져서 별자리 이름에 그리스신화 속의 신과 영웅, 동물들의 이름이 더해졌다. 카시오페이아, 안드로메다, 페르세우스, 큰곰, 작은곰 등의 별자리가 그러한 것들이다.
2세기경 프톨레마이오스가 그리스 천문학을 집대성하여 작성한 저서 알마게스트에는 북반구의 별자리를 중심으로 48개의 별자리가 남겨져 있고, 이 별자리들은 그 후 15세기까지 유럽에서 널리 쓰였다. 15세기 이후에는 원양항해의 발달에 따라 남반구의 별들도 다수가 관찰되어 여기에 새로운 별자리들이 추가되기 시작했다. 공작새, 날치 자리 등 이남의 대부분 별자리가 이때 만들어졌다. 또 망원경이 발명된 후 근대 천문학의 발달과 더불어 종래의 밝은 별자리 사이에 있는 작은 별자리들이 몇몇 천문학자에 의하여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중국과 인도 등 동양의 고대 별자리는 서양의 별자리와는 전혀 계통을 달리한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적도를 12등분하여 12차라 하였고, 적도 부근에 28개의 별자리를 만들어 28수라 하였다. 대체로 중국의 별자리들은 그 크기가 서양보다 작았다. 3세기경 진탁이 만든 성도에는 283궁(궁 = 별자리) 1,464개의 별이 실려 있었다고 한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는 별자리 이름이 지역, 나라, 민족 등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고, 그 경계도 학자마다 달라서 자주 혼동이 생기고 불편한 일이 많았다. 그래서 1930년 국제천문연맹 총회는 하늘 전체를 88개의 별자리로 나누고, 황도를 따라서 12개, 북반구 하늘에 28개, 남반구 하늘에 48개의 별자리를 각각 확정하고, 종래 알려진 별자리의 주요 별이 바뀌지 않는 범위에서 천구상의 적경, 적위에 평행인 선으로 경계를 정하였다. 이것이 현재의 우리가 알고 있는 별자리이다.
우리나라 계절별 별자리
한국은 북반구 중위도에 있으므로 천구 북극 근처의 별들은 1년 내내 밤 동안 어느 때나 볼 수 있다. 이런 별들을 주극성이라 하며, 큰곰, 작은곰, 카시오페이아, 기린, 살쾡이 자리 등이 이에 속한다. 주극성들의 일주운동을 살펴보면 북극성을 중심으로 일주운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의 북극에서 멀리 떨어진 별자리들, 즉 우리의 머리 위를 지나는 별자리나 남쪽 하늘을 지나는 별자리들은 계절에 따라 지평선 위에 보이거나 그 밑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거나 한다.
보통 저녁 8시경에 보이는 별자리를 그 계절의 별자리라고 한다. 별자리를 쉽게 찾는 방법은 우선 밝은 별 몇 개와, 그 형태가 뚜렷한 쉬운 별자리를 몇 개 기억해 두는 것이다. 그다음에는 이 별자리들의 별과 연관시켜 차례대로 다른 별자리를 알아낼 수 있다. 별자리를 그림으로 표시한 성도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남쪽 하늘의 별자리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므로, 우선 북쪽 하늘의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를 익혀 둔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두 별자리가 동시에 보일 때도 있지만, 둘 중 하나는 반드시 북쪽 하늘에서 보인다.
봄 별자리
목자, 머리털, 처녀, 천칭, 사냥개, 게, 사자, 바다뱀, 까마귀 자리 등이다. 이 별자리 중에 1등성은 목동자리의 아르크투루스, 사자자리의 레굴루스, 처녀자리의 스피카가 있다. 북두칠성의 국자 머리끝의 두 별을 이어서 한쪽으로 그 간격의 약 5배를 연장하면 북극성과 마주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반대쪽으로 약 5배를 연장하면 사자자리가 나타난다. 또 북두칠성의 자루 끝을 길게 연장하면 목자자리의 1등성 아르크투루스와 마주치고, 이 선을 지평선 쪽으로 연장하면 처녀자리의 스피카에 이른다. 아르크투루스, 스피카, 사자자리의 데네볼라는 커다란 정삼각형을 이루는데, 이것이 봄의 대삼각형이다.
여름 별자리
여름의 별자리는 헤라클레스, 독수리, 백조, 방패, 궁수, 전갈, 뱀주인, 거문고 자리 등이다. 여름에는 은하수가 남쪽으로부터 천장을 지나서 북동쪽에 걸리고, 그 속에 별들은 칠월칠석의 전설로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것들이다. 1등성으로는 거문고자리의 직녀성, 독수리자리의 견우성, 백조자리의 데네브, 전갈자리의 안타레스 등이 있다. 직녀성은 여름철에 천정 근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직녀성에서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약간 남쪽으로 견우성이 있으며, 견우, 직녀, 데네브의 세 1등성이 삼각형을 만드는데, 이를 여름의 대삼각형이라고 한다.
가을 별자리
가을에는 양, 고래, 염소, 물병, 남쪽물고기, 페가수스, 물고기, 안드로메다, 삼각형 자리 등의 별자리가 보인다. 이 가운데 페가수스의 사각형은 그 형태가 뚜렷하여 별자리를 찾는 좋은 지표가 된다. 1등성은 남쪽물고기자리의 포말하우트뿐이다. 밝은 별이 많지 않은 가을철에는 W자 모양의 카시오페이아를 이용하여 다른 별자리를 찾을 수 있다. 북극성과 카시오페이아(베타), 즉 W자의 오른쪽 끝별을 이어 북극성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면 안드로메다자리(알파)가 나온다. 이 별은 페가수스자리의 3별과 더불어 페가수스 사각형을 이룬다.
겨울 별자리
겨울에 보이는 별자리는 페르세우스, 오리온, 쌍둥이, 작은개, 큰개, 고물, 황소, 마차부 자리 등이다. 이 중 오리온, 쌍둥이, 큰개, 마차부 자리 등은 밝은 별들을 가지고 있고 형태가 뚜렷하기 때문에 찾기 쉬운 별자리들이다. 1등성은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황소자리의 알데바란, 오리온자리의 베텔기우스와 리겔, 쌍둥이자리의 폴룩스와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용골자리의 카노푸스 등으로 4계절 중 가장 많은 1등성을 볼 수 있다. 시리우스와 프로키온, 베텔기우스를 연결한 삼각형을 겨울의 대삼각형이라고 한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홀과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01.01 |
---|---|
천문학과 점성술 (1) | 2023.12.29 |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자리의 신화와 역사 (2) | 2023.11.21 |
아름다움에 사로잡힌 여왕 카시오페이아자리 (1) | 2023.11.15 |
오리온을 죽이기 위해 보내진 전갈자리 그 신화를 알아보자 (1) | 2023.11.13 |